폭우 때 물에 잠기는 반지하 대피 신호 꼭 알아두자

폭우 때 물에 잠기는 반지하 대피 신호 꼭 알아두자

디스크 와 급성요추염좌 어떻게 구분할까?

지난해 여름, 서울엔 물 폭탄이 떨어졌다. 8월 8일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에 하루 400mm에 달하는 비가 쏟아졌다.

비가 적게 오는 편이었던 2021년 장마철, 전국 평균 강수량이 227.5mm였던 것과 비교하면 무척 많은 양이다.

차가 물에 잠기고, 반지하가구 주민이 익사하는 사고가 곳곳에서 일어났다. 전문가들은 예기치 못하게 찾아오는 집중호우가 이제 일상이 될 수 있다고 경고한다. 기후위기의 영향 때문이다.

정부가 대책 마련에 서두르는 중이지만 역부족이다. 장마철이 가까워지는 지금도 참수 방지용 물막이판이 설치되지 않은 반지하가 많다.

지난 12일 서울시 브리핑에서 밝혀진 바로는 물막이판 설치 대상인 1만5291가구 중 3414가구(22.3%)에만 설치가 완료됐다.

역류방지기만 설치한 가구까지 합해도 6310가구(40.2%)에 불과하다. 절반 넘는 반지하가구가 폭우 시 침수 위험에 그대로 노출돼있는 셈이다.

지난 16일 한병용 서울시 주택정책실장은 “올해는 우기가 오기 전에 시내 반지하 전체를 확인하고, 우려가 있는 부분은 미리 조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5월 10일 기준 침수예방설치가 필요한 곳을 확인하기 위한 육안조사가 98% 진행됐지만, 시설 설치 진척 속도가 그리 빠르진 않다.

물막이판을 설치하지 못한 상황에서 폭우를 맞이했다면, 어떤 신호가 있을 때 지상으로 대피해야 할까?

물살 높이 무릎 이상이면 대피 불가… 최대한 얕을 때 피해야

무릎께까지 오는 강이나 하천은 그리 위험하지 않다.

그러나 지상보다 지대가 낮은 반지하나 지하에선 이조차 치명적이다.

지상에서 지하 공간으로 유입되는 물살의 높이가 정강이께만 되어도 성인이 계단을 올라가기 어렵다.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이 계단 모형 안으로 쏟아져 내려오는 물의 높이를 발목(수심 17cm) 정강이(35cm) 무릎(45 cm) 높이로 달리해 대피 능력을 실험한 결과,

남녀 성인 모두 물이 발목까지 올 땐 계단을 올라갈 수 있었으나 무릎 이상일 땐 대피가 불가능했다.

물살이 정강이까지 올 땐 몸의 중심을 잡기 어려운 탓에 난간이 없으면 대피가 힘들었다.

이에 연구진은 논문에서 “침착하게 난간을 지지하여 대피하고, 난간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벽에 몸을 지지하여 균형을 잃지 않는 것”을 권장했다.

사실 계단을 걸어 올라갈 수 있느냐는 두 번째 문제다. 지하의 침수심이 일정 높이 이상이면, 실내에 있던 바깥으로 통하는 문을 열기조차 어렵다.

실내외 수압 차 때문이다.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이 지하 공간 수심의 높이를 달리해 출입문 개방 여부를 확인한 결과, 남성은 출입문 앞 수심이 50cm일 때 여성은 40cm일 때 문을 열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이 얕을 때 곧바로 대피하는 방법밖에 없다.

폭우 때 지하 바닥에 물 조금이라도 차오르면 즉시 대피

행정안전부 재난관리실 자연재난대응과는 반지하 주택, 지하 역사·상가, 지하 주차장 등 지하공간에 있을 때 바닥에 물이 조금이라도 차오르거나 하수구에서 물이 역류하거나

지상으로 통하는 계단으로 물이 흐르는 즉시 그 공간을 벗어나라고 안내한다. 지하로 물이 들어오기 시작한 이상 물이 천장까지 차오르는 건 시간 문제다.

실제로 행정안전부는 작년 보도자료를 통해 “경사로를 따라 지하주차장으로 물이 들어오기 시작한지 5~10분 정도면 지하 주차장 천장 부근까지 수위가 올라간다”며

“지하에 있는 사람은 신속히 대피하고, 차량 확인 등을 위해 주차장으로 절대 진입하지 말아야 한다”고 경고했다.

문제는 지상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반지하 공간이 많다는 것이다.

지상에 물이 차오르고 있는지 모르다가, 지하가 이미 상당히 침수된 후에야 위험을 인지할 수 있다.

이에 계단 침수 실험을 진행한 연구자들은 집중호우가 빈번한 장마철엔 기상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해야 함을 강조한다.

실험에선 맨발일 때 발의 미끌림이 가장 적어 대피가 용이했지만, 실제 상황이라면 반드시 발을 완전히 감싸는 신발을 신어야 한다.

지하로 유입되는 물에 금속이나 유리파편 등 이물질이 들어있을 수 있어서다. 슬리퍼, 샌들, 구두 등 발이 미끄러지기 쉽거나 균형을 잡기 어려운 신발은 피한다.

등산화나 안전화가 최선이지만, 여의치 않다면 발에 딱 맞아 미끄러짐이 없는 운동화를 신는다.

현관문 밖에 이미 물이 차올랐다면 출입문이 열리지 않을 수 있다.

일단은 침수로 인한 감전을 예방하기 위해 전력을 차단하고, 인근 소방서에 구조를 요청한다.

출입문 내 외부의 수압 차가 줄어들면 문이 열릴 수도 있으므로 구조를 기다리는 동안 계속해서 문 개방을 시도해야 한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