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손상 치료 후 원래 운동 강도로 복귀하려면

스포츠손상 치료 후 원래 운동 강도로 복귀하려면

숙면 방해하는 음식 어쩐지 이거 먹으면 잠 안 오더라

요즘은 본인만의 취미 운동이 있는 사람이 많다.

건강하게 오래 살려면 꼭 운동해야 하는 것은 맞으나 부상 위험이 늘 뒤따르는 것도 사실이다.

운동이 취미인 사람들은 부상 탓에 평소대로 운동하지 못하는 게 스트레스일 수밖에 없는데, 스포츠 손상을 최대한 예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손상 예방·치료법과 운동을 재개하기 적절한 시기까지, 고대구로병원 정형외과 김상민 교수에게 물었다.

뼈와 뼈의 이음새에는 관절이 있고, 그 관절을 안정시키기 위해 인대가, 뼈와 뼈를 움직이게 하기 위해 근육이 있다.

본인의 관절 가동범위보다 큰 움직임에 인대나 근육이 손상되는 것이 염좌, 여기서 더 나아가 인대나 근육이 찢어지며 뼈가 제자리를 벗어나 버리는 것이 탈구다.

탈구는 가동범위가 넓어서 움직임이 자유로운 관절에 잘 생긴다.

상체에선 어깨관절, 하체에선 무릎뼈 앞 슬관절이 여기 속한다. 고관절은 가동범위가 비교적 좁은 대신 안정적이라 탈구가 덜 생기는 편이다.

염좌는 관절의 안정성이 강하면서 움직임이 많고, 체중 부하를 많이 받는 곳에 잘 생긴다. 고관절, 무릎관절, 발목관절 등이다.

손가락, 발가락 등 여기저기 부딪히기 쉬운 부분도 염좌가 잘 생기는 경향이 있다.

몸이 유연한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탈구가 잘 된다.

운동 전에 스트레칭을 충분히 하는 것으로 탈구를 예방하긴 어렵다.

운동 도중에 동작을 무리해서 하지 않는 게 관건이다. 스트레칭은 염좌 예방 목적이 더 크다.

뼈가 탈구되려면 매우 많은 관문을 거쳐야 한다.

뼈를 감싼 인대와 근육에 이어 관절을 감싼 관절낭이라는 주머니까지 찢어져야 뼈가 원래 위치를 벗어난다.

처음 탈구가 일어났다면 연부조직 손상 때문에 통증이 심하다.

그러나 같은 자리에 탈구가 반복되다 보면 이미 주변 연부조직이 다 손상돼있어 뼈를 잡아주지 못한다.

쉽게 말하면 뼈가 빠질 길이 이미 트여 있는 것이다. 그러다 보니 통증도 덜 느끼게 된다.

스스로 끼우지 말고 병원에 오길 권한다. 뼈가 탈구되는 과정에서도 인대, 근육, 관절낭이 손상될 수 있지만, 반대로 빠진 뼈를 끼워 넣을 때도 주변 연부조직이 손상될 수 있다.

병원에서 전문가가 끼워 넣어야 2차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빠진 팔이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고 병원에 가면 된다.

탈구가 같은 부위에서 3번 이상 반복되면 습관성 탈구로 본다. 외력으로 인한 습관성 탈구는 수술이 필요한 경우가 굉장히 많다.

연골이나 뼈가 많이 손상된 상태여서다. 특히 어깨 같은 경우 견갑골과 상완골 사이의 관절와를 둘러싼 연골인 ‘관절와순’이 찢어지는 경우가 많다.

연부조직이 찢어진 정도가 너무 심하거나 탈구되며 뼈와 연골이 깨지는 경우 반드시 수술이 필요하다.

수술은 찢어진 관절낭·인대를 복원하거나 뼈와 연골의 결손을 보완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어깨의 경우 관절와순 복원술이 가장 많이 시행되고 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