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리핀 뎅기열 급증에 모기 잡아 오면 현상금

필리핀 뎅기열 급증에 모기 잡아 오면 현상금

4개월 만에 14kg 감량 실천한 네 가지 방법은?

필리핀에서 모기가 옮기는 전염병인 뎅기열 환자가 급증하는 가운데 모기를 잡아 오면 현상금을 주는 캠페인까지 등장했다.

현지시간 20일 AP 통신에 따르면 2월 초 기준 필리핀 내 뎅기열 감염 사례는 2만8234건에 달했다고 필리핀 보건부가 집계했다.

이는 전년 동기보다 40% 증가한 것이다.

수도 마닐라 인근 케손시티의 경우 1769명의 환자가 발생, 10명이 숨지자 지난주 뎅기열 발병사태를 선언하는 등 최근 9개 주요 지방자치단체에서 뎅기열 환자가 급증했다.

이처럼 뎅기열 환자가 늘자 마닐라 인근 만달루용시의 애디션 힐스 지역은 살았든 죽었든 모기를 잡아 오면 5마리당 1페소(약 25원)를 주는 캠페인을 최근 시작했다.

10만 명 이상이 사는 이 지역은 뎅기열 퇴치를 위해 수로 등지를 청소하고 위생 캠페인을 실시했지만, 올해 뎅기열 감염이 42건으로 늘고 어린 학생 2명이 사망했다.

해당 마을의 회관 앞은 현상금을 받으려는 주민들이 모기를 담은 양동이, 컵 등을 들고 줄을 섰다.

45마리의 모기 유충을 잡은 물 주전자를 내고 9페소(약 224원)를 받은 미겔 라박(64)은 AP에 “이 돈은 큰 도움이 된다. 커피를 살 수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이 캠페인 때문에 생계가 절박한 사람들이 모기를 키우는 역효과(코브라 효과)가 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공중보건 전문가 앤서니 리치온은 현지 언론에 “모든 뎅기열 방지 정책을 환영하지만, 모기 현상금 캠페인은 효과가 거의 또는 전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필리핀 보건부 대변인인 앨버트 도밍고 박사도

“기본으로 돌아가는 것이 가장 좋다”면서 “지역 사회가 임시 조치를 취하기 전에 보건 당국과 협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빨리 우리 주변을 청소하고 고인 물이 모일 수 있는 모든 지역을 갈아엎을수록 뎅기열에 더 잘 대처할 수 있을 것”이라며 “주민들에게 방충제와 긴소매 옷으로 스스로를 보호하라”고 밝혔다.

덥고 습한 아열대성 기후인 동남아시아에서는 모기가 옮기는 질병인 뎅기열과 말라리아, 지카 바이러스 감염증을 주의해야 한다.

뎅기열은 뎅기 바이러스를 가진 모기에 물려 전파된다.

갑작스럽게 3~5일간 고열이 계속되고, 두통·근육통·식욕부진이 동반된다.

뎅기열은 예방백신이 없어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말라리아는 오한과 발열이 전형적인 감염 증상이다.

말라리아는 주사 백신이 없고 예방약을 먹어야 한다.

중남미에서 시작된 지카 바이러스는 최근 동남아시아에서 기승이다.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지카 바이러스 감염증 확진자 21명 중 16명이 동남아시아(필리핀·베트남·태국·몰디브) 여행객이었다.

지카 바이러스 감염증은 붉은 반점이 피부에 퍼지고 발열이 나타난다.

아직 예방백신이 없어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하고 외출 시 2시간마다 모기 기피제를 써야 한다.

특히 임신부는 지카 바이러스 발생 국가 여행을 하지 않아야 한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