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막으로 퍼진 위암도 항암제 뿌려 작게 수술까지 합니다
복막으로 퍼진 위암도 항암제 뿌려 작게 수술까지 합니다
흔해서 두려운 암, 바로 위암이다.
위암은 수십 년간 한국인에게 가장 많이 발생하는 암이었지만, 지금은 위암 환자가 줄고 있다.
2020년 기준 위암 발생자수는 2만 6662명으로 대장암과 자리를 바꾸어 암 발생 4위로 내려갔다.
위암 생존율은 크게 높아졌다. 불과 20년 전(1993~1995년)만 해도 5년 생존율이 43.9% 였지만,
최근(2016~2020년)에는 78%로 30% 포인트 이상 증가했다.
이런 변화에는 암 조기 발견 정책과 위암 술기 발전이 있었다.
그러나 위암도 4기가 되면 생존이 어렵다. 일례로 가장 흔한 복막 전이가 있으면 1년을 채 못산다.
국내 복강경 위암 수술의 선구자 중앙대광명병원 외과 김형호 교수는 최근 위암이 복막에 전이된 4기 위암 환자 치료에 몰두하고 있다.
수술 전 항암 치료를 효과적으로 해서 복막에 퍼진 암을 줄이면 수술까지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그는 복막에 효과적으로 닿을 수 있는 항암 약물 전달 시스템 임상 연구에 앞장서고 있다.
그를 만나 변화된 위암 트렌드에 대해 들었다.
위암 발생이 감소하고 있다?
그렇다. 위암 발생은 10만 명당 4.5명씩 줄어드는 추세다. 여성은 더 감소하고 있다.
일본도 위암 발생이 정점을 찍고 환자가 줄고 있다. 중국만 줄지 않고 있다.
동북아시아에서 전세계 위암의 70%가 발생하고 있으며, 위암 발생률 세계 1위가 몽골이고, 우리나라는 2위다.
몽골, 중국에 위암 환자가 많은 건 위생과 연관이 있어 보인다.
위암은 위생과 관련이 깊은 암이다. 실제 1920년대 미국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암은 위암이었다.
위암 주된 원인은?
위암은 유전보다 환경적인 요인이 지배적인 암이다. 대표적인 것이 ‘헬리코박터균’이다.
위산에도 살아남는 헬리코박터균이 위에 붙어 만성적인 위염을 일으키며 위암까지 진행한다.
과거와 달리 식수 관리 등 위생 환경이 좋아지고, 항생제를 통한 제균 치료가 확대되면서 헬리코박터균 감염률은 감소하고 있다.
1990년 후반만 해도 헬리코박터 감염률이 70%였지만 지금은 50%대로 감소했다.
소금도 위암의 원인인데, 소금 섭취량이 줄었다. 2012년 하루 나트륨 섭취량은 4549.4㎎였다. 2021년엔 3038mg으로 10년 새 33.2% 줄었다.
가족력은 어떤가?
가족력이 지배적이지는 않지만, 가족력과 관련이 있는 위암도 있다. 암세포가 위벽을 파고들며 넓게 자라는 ‘미만형 위암’이다.
미만형 위암은 젊은 여성에게 특히 많으며, 유전자 변이가 관여한다.
특히 CDH1 유전자에 변이가 있으면 미만형 위암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외국에서는 예방적 위절제술까지 하고 있다. 위암 가족력은 위암 환자가 직계가족, 친척을 포함해 동세대에 2명,
아래 위세대까지 포함해 3명 이상 있으면 의심해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