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편한 자가진단 얼굴 색으로 보는 알코올 건강 리스크

간편한 자가진단 얼굴 색으로 보는 알코올 건강 리스크
간편한 자가진단 얼굴 색으로 보는 알코올 건강 리스크
43kg 박준금의 식단 관리법 이것만큼은 절대 라고 말한 음식
술을 마신 뒤 얼굴이 붉어지는 현상이 단순한 숙취 증상을 넘어 특정 암의 위험 신호일 수 있다는 전문가의 경고가 제기되었습니다.
최근 영국 데일리메일의 보도에 따르면, 스코틀랜드 응급의학 전문가 마이클 므로진스키 박사는 자신의 SNS를 통해
알콜 섭취 후 나타나는 안면홍조가 잠재적으로 독성 물질인 아세트알데하이드가 체내 해로운 수준으로 축적된 결과일 수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아세트알데하이드는 알코올 대사 중 생성되는 부산물로, 장기적으로 인체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는 DNA 손상을 초래하며 위암, 식도암, 췌장암 등 여러 암의 발병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단기적으로는 얼굴이 붉어지고 두통, 메스꺼움, 심박수 상승과 같은 숙취 증상을 유발할 수 있는데
이 모든 반응은 아세트알데하이드가 체내에서 제대로 처리되지 못했음을 반영합니다.
므로진스키 박사는 알코올로 인해 얼굴이 붉어지는 증상을 경험하는 사람들은 이러한 현상이 단순히 유전적인 문제가 아니라 건강에 심각한 신호일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그는 아세트알데하이드가 특히 상부 소화기관, 즉 위, 식도, 췌장에 강한 독성을 가지며, 지속적으로 이러한 증상을 겪는 경우 암 발병률이 높아질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에 더해, 유전학 및 영양 전문가 이아니스 마브로마티스 박사는 음주 직후 나타나는 안면홍조뿐 아니라 열감
어지럼증, 심지어 메스꺼움과 호흡곤란 같은 추가 증상도 주의 깊게 살펴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안면홍조는 알코올 분해 효소인 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ALDH)가 부족하거나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때 주로 나타납니다.
특히 아시아인을 포함한 일부 인종에서 이러한 유전적 결핍이 흔하게 발견되며, 이로 인해 체내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가 쉽게 높아져 각종 증상을 악화시킵니다.
므로진스키 박사는 알코올 섭취로 인해 쉽게 얼굴이 붉어지고 암 발병 위험이
유전적으로 높은 사람이라면 반드시 자신의 음주 습관을 돌아보고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습니다.
또한 전문가들은 안면홍조를 자주 경험하는 경우 음주량을 줄이거나 무알코올 음료 또는 탄산수와 섞어 마시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제안합니다.
하지만 궁극적으로 가장 안전한 방법은 알코올 섭취 자체를 제한하거나 무알코올 음료를 선택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체내에 축적되는 아세트알데하이드 양을 최소화할 수 있죠.
안면홍조와 암 발병률의 연관성은 이미 국내에서도 관련 연구를 통해 밝혀졌습니다.
연세대 보건대 의학원 연구에 따르면 술 마신 후 얼굴이 빨개지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고혈압 위험이 1.42배 높았으며, 동일한 양의 술을 마셔도 식도암 발생 위험이 6~10배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미국 국립 알코올남용·중독연구소의 연구 결과 역시 이를 뒷받침합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남성의 하루 적정 음주량을 알코올 40g(소주 4잔 미만), 여성의 경우 20g(소주 2잔 미만)으로 권장하고 있습니다.
적정 음주량을 준수하고 자신의 몸이 보내는 신호를 주의 깊게 살피는 것이 건강한 음주 문화와 장기적인 건강을 지키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임을 잊지 말아야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