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종일 입은 옷 세균 범벅 이렇게 관리

하루 종일 입은 옷 세균 범벅 이렇게 관리

팽이버섯 이렇게 썰었나요? 미세플라스틱까지 섭취하는 꼴

완연한 봄이다.

날이 따뜻해지니 불청객이 찾아오고 있다.

꽃 가루, 황사와 더불어 각종 미생물과 바이러스 등도 공기 중에 부유한다.

야외 활동이 늘어나는 만큼 오염물질 노출을 최소화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손을 씻거나 마스크를 착용하는 기본적인 위생 관리는 철저히 하는 데 반해 옷 속 오염물질은 간과하는 이들이 많다.

의류 섬유는 바이러스가 잘 생존하는 환경이다.

전파도 주의해야 한다.

의류 관리법을 익혀야 할 때다.

섬유, 세균·바이러스 잘 붙는 구조

옷 섬유는 미세 구조가 거칠고 표면에 작은 구멍이 많아 미생물이나 세균 등이 쉽게 달라붙는다.

각 직물 특성에 따라 다르지만 달라붙은 세균·바이러스는 섬유에서 며칠, 길게는 몇 달간 생존할 수 있다.

독일 위생 및 환경의학 연구소에서 수행한 연구에 따르면, 폴리에스터 섬유에서 세균이 최대 206일까지 생존했으며 면이나 혼합 섬유에서는 최대 90일까지 생존했다.

연구팀은 면 등 천연섬유는 수분을 빠르게 흡수 및 증발시키지만 폴리에스터 등 합성섬유는

수분을 덜 흡수하기 때문에 이러한 섬유 특성과 건조 속도가 미생물 생존에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옷 섬유 종류별 적절한 세탁·살균 주기를 지켜야 하는 이유다.

가톨릭대 의대 미생물학교실 홍승진 교수는 “의류 소재에 따라 미생물 생존 시간이 다를 수 있다”며 섬유 종류별 생존 시간 및 특성을 정리했다.

옷 속 세균, 피부·코 통해 체내로 유입

섬유 속에 남아있던 세균은 땀, 습기 등에 노출되면 피부에 묻고 손을 통해 코나 입으로 유입될 수 있다.

영국 미생물학자 제이슨 테트로 박사는, 영국 매체와의 인터뷰를 통해 “섬유에 붙은 세균과 바이러스는 감기 등 호흡기질환,

황색포도상구균, 폐렴간균 등 다양한 질병을 옮기는 주범이 될 수 있다”며

“식중독 증상을 일으키는 노로바이러스는 섬유에서 약 한 달, 곰팡이는 약 90일간 살아남아 전염을 일으킬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인하대병원 직업환경의학과 임종한 교수는 “옷에 묻은 바이러스나 세균 등은 일정 농도 이상이 되면 호흡기나 피부 상처 등을 통해

체내에 들어와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며 “피부 장벽을 정상으로 유지하고, 손 씻기·의류 세탁·환기 등 기본적인 위생 수칙을 철저히 지키기를 권한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면역력이 약한 노인·만성질환자·어린이나 병원 등에서 환자와 직접 접촉한 경우는 감염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을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고 했다.

홍승진 교수는 “일반적인 환경에서는 의류 감염 위험이 크지 않지만 위생 관리를 철저히 해야 감염 가능성을 더욱 낮출 수 있다”며

“병원 등 고농도의 병원균이 존재하는 환경에 노출됐거나 면역 취약층의 경우는 의류 위생 관리가 특히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의류 표면에서 생존하는 시간은 미생물 종류, 환경, 온도, 습도, 섬유 재질 등에 달라진다”고 말했다.

오염물질이 묻은 옷을 탈의하거나 터는 등의 행위도 조심해야 한다.

국제 학술지 ‘Microbiome’에 게재된 연구에 따르면, 병원 내 환자 린넨 시트를 교체하는 동안 공기 중 황색포도상구균 입자가 증가했다.

이는 오염된 직물을 움직이는 행위만으로도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공기 중으로 퍼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로 인해 교차 오염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

‘의류 위생 관리’로 감염 예방을

의류 속 세균·바이러스로 인한 감염을 예방하려면 의류 위생을 틈틈이 점검해야 한다.

외출 후 집에 들어가기 전 문 앞에서 옷의 먼지를 털어내자.

외부에 오래 노출되거나 오염된 옷은 가급적 당일 세탁하는 게 좋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