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극 추구 성향이 고위험군 도박중독 환자 점점 어려져 문제
자극 추구 성향이 고위험군 도박중독 환자 점점 어려져 문제
도박중독 환자가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도박중독으로 치료받은 20대가 최근 5년 새 2배 이상 급증하는가 하면 도박범죄로 검거된 10대 청소년은 2021년 이후 증가세다.
불법 도박장이 온라인으로 옮겨가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돼서다.
이번 달 기준으로 불법 도박 규모가 100조원을 돌파하기도 했다.
도박중독은 치료가 안 된다는 인식이 있다.
손 자르면 발로 하고, 발 자르면 혀로 한다는 말이 있을 정도다.
그러나 도박중독은 치료가 가능한 질환이다. 시간이 오래 걸리긴 하지만 분명 도박중독에서 빠져 나와 이전의 삶을 회복한 사람들이 있다.
진심정신건강의학과 의원 최삼욱 원장에게 도박중독의 증상, 치료 등에 대해 물었다.
사람이 도박에 빠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도박 자체가 재미있다. 불확실성과 간헐적인 보상 때문이다.
간단한 점심 내기 사다리타기만 해도 결과를 모를 땐 기대를 하고 예측을 하며 스릴감을 느끼게 된다.
하물며 수백, 수 천만 원의 보상이 걸려 있으면 어떨까.
도박에서의 승리는 뇌의 보상체계를 바꿔버릴 정도의 자극이다. 이 자극을 언제 또 얻을 수 있을지 몰라 포기하지 못한다.
여러 환경적 요인들도 영향을 끼친다.
사실 도박이라는 건 인간하고 떼어낼 수 없는 놀이다.
아주 오랫동안 존재해왔다. 그런데 모든 사람이 도박에 빠지는 건 아니다.
성격특성이나 접근성, 사회적 분위기 등도 한 개인을 도박에 빠져들게 만든다.
도박 중독에 유의해야 하는 성격도 있나?
자극추구 성향이 강하면 도박에 빠질 위험도 크다.
지루한 상황에서 항상 새로운 자극을 찾는 성격특성인데 어릴 때부터 티가 나는 사람들이 있다.
게임 자체를 좋아하고 승부욕이 강하며 사고방식이 굉장히 자기중심적인, 남 얘기 안 듣고 자기 생각을 과시하는 성격이라면 도박에 빠지기 쉽다.
또 하나는 스트레스나 불안에 취약한 성격이다.
이러한 성격 유형은 도박에 빠지면 채무에 대한 부담감 등을 견디기 어려워해서 바로 도박을 하는, 악순환에 빠질 위험이 크다.
다만 이러한 성격특성만 도박에 빠지는 건 절대 아니다.
도박이 뇌까지 바꾼다?
마약, 술과 크게 다르지 않다.
직접적인 물질이 아니라 행위가 도파민 시스템에 작용할 뿐이다.
인간은 자극을 받을 때 도파민이라는 신경전달물질이 나와야 쾌감, 즐거움을 느낄 수 있다.
일상에서 즐거운 행위의 도파민 점수가 100이라면 도박은 1000이다.
한 번 1000을 맛보면 다른 자극은 재미없어진다. 보상의 기준이 완전히 달라지는 거다.
게다가 똑같이 1000을 경험하려면 배팅 액수가 늘어나야 한다. 소위 말하는 내성이 생기고 중독으로 나아간다.
도박에 중독되면 겉으로 드러나는 특징이 있나?
사람에 따라 달라서 단정하긴 어렵다.
그런데 공통적으로 보이는 모습이 하나 있다.
빚을 내서 도박을 하다가 채무가 감당이 안 되면 가족들한테 도와달라고 하는데 이때 거짓말을 한다.
도박중독자들의 특성이 자꾸 숨기고 축소하는 것인데 전세 문제, 친구의 상황 등을 이유로 돈을 빌려 달라하면 의심해볼 필요가 있다.
젊은층. 10대까지 도박에 중독되고 있다. 원인은 무엇인가?
20년 전까지만 해도 도박은 40~50대의 전유물이었다.
이때는 도박을 하려면 경마장, 카지노, 하우스 등 실제 장소를 방문해야 했고 게임 한 판을 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리기도 했다.
직접 연구해본 적이 있는데 오프라인 도박이 주를 이룰 땐 중독이 심각한 수준으로 발전하기 까지 평균 10년 정도 걸렸다.
그런데 인터넷과 스마트폰 이후로는 얘기가 달라졌다.
이제는 언제 어디서나 24시간 불법 도박장을 열고 닫을 수 있다.
온라인 불법 도박은 베팅 액수에 한계가 없고 전 세계 도박장에 접근할 수 있다.
게임도 5분, 3분 만에 끝나는 것들이 많다. 전에는 10년 결렸던 게 1~2년 만에 심각한 상태로 발전하기도 한다.
실제 우리 병원에 도박중독으로 내원하는 환자들 중 20~30대가 제일 많다.
중학생 때 도박을 시작해 고등학생 때 심각한 수준으로 내원하는 사례도 종종 있다.
요즘에는 군대에서도 많이 하는데 입대 전에는 도박에 도자도 모르다가 군대에서 배워가지고 의가사전역하는 사례도 봤다. 과거엔 없던 현상들이다.
사회적인 분위기도 한몫한다?
최근 사회적인 분위기가 편하게 살고 싶다는 인간의 욕구를 최대한 끄집어내려고 하는 것 같다.
‘파이어족’이라는 용어처럼 말이다. 실제로 가능한 사례가 얼마나 있겠나.
그런데 언론, sns에서 이런 사례를 접하면 괜히 잘 살고 있는 사람도 나만 뒤처지거나 빨리 큰돈을 마련해야 할 것 같은 느낌을 받는다.
도박중독과 무관하지 않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