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 환자 전기매트 켜두고 푹 잤다간 이런 위험이
당뇨병 환자 전기매트 켜두고 푹 잤다간 이런 위험이
전기장판과 온수매트 등 발열 제품은 겨울철 필수 가전이지만, 안전성 우려가 끊임없이 제시되고 있다.
실제로 한국소비자원 조사에 따르면 전기매트와 관련된 안전사고는 매년 500건 이상 꾸준히 발생한다.
이중 인명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화재, 과열, 폭발이 전체 사고의 62.9%를 차지한다.
안전하면서도 따뜻한 겨울을 보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우선, 전기매트를 구매할 땐 제품안전정보센터 홈페이지를 통해 안전인증번호나 제품명을 확인한 후, 이상이 없는 제품을 선택하는 게 좋다.
안전성을 입증하는 KC 인증마크가 있는지도 확인한다.
제대로 인증받지 않은 해외직구 제품 등은 최대한 사용을 피한다.
지난겨울 사용하고 보관해뒀던 전기매트를 다시 꺼낼 땐, 파손된 곳이 없는지 점검하고 전선 연결 부위를 마른 걸레로 닦아준 후 사용한다.
보관할 땐 전선이 접히지 않도록 둥글게 말아야 한다.
전기매트 안전사고는 제품에 이상이 없어도 발생할 수 있다.
대표적인 게 저온화상과 열성홍반이다.
화상은 높은 온도에서만 발생한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40~70°C 정도의 비교적 낮은 온도에 장시간 노출돼 피부 손상이 누적되며 생기기도 한다.
저온화상은 고온화상과 달리 즉각적인 통증이 없어 알아차리기 어렵지만, 심하면 괴사·궤양 등 심각한 손상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열성홍반은 저온화상의 증상 중 하나로, 그물 모양의 홍반과 색소침착이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저온화상 등 안전사고를 예방하려면 전기매트를 과도하게 오래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잠을 잘 때는 저온모드를 이용해 최대한 낮은 온도를 유지한다.
장판 위에 얇은 이불을 덧대 피부가 열원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다.
라텍스와 메모리폼 소재의 침구류를 전기장판과 함께 사용하면 위험할 수 있다.
열 흡수율이 높은데다, 한 번 열이 축적되면 잘 빠져나가지 않아 화재가 일어날 수 있다.
특히 당뇨병 환자, 피부가 얇은 고령자, 영유아가 전기장판을 사용할 때는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당뇨병 환자는 합병증으로 인해 말초 신경 감각이 무뎌진다.
이에 저온화상이 생겨도 알아차리기가 어렵다.
음주 상태일 때도 감각이 무뎌져 화상을 입기 쉬워지니 조심해야 한다.
노화로 피부가 얇아진 고령자나 뜨거움에 스스로 대처하기 어려운 영유아도 주의가 필요하다.
안전하면서도 따뜻한 겨울을 보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우선, 전기매트를 구매할 땐 제품안전정보센터 홈페이지를 통해 안전인증번호나 제품명을 확인한 후, 이상이 없는 제품을 선택하는 게 좋다.
안전성을 입증하는 KC 인증마크가 있는지도 확인한다.
제대로 인증받지 않은 해외직구 제품 등은 최대한 사용을 피한다.
지난겨울 사용하고 보관해뒀던 전기매트를 다시 꺼낼 땐, 파손된 곳이 없는지 점검하고 전선 연결 부위를 마른 걸레로 닦아준 후 사용한다.
보관할 땐 전선이 접히지 않도록 둥글게 말아야 한다.